탐욕법 - 체육복 (Lv.1)

2022. 2. 25. 16:322022/Programmers

문제 설명

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전체 학생의 수 n,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reser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전체 학생의 수는 2명 이상 30명 이하입니다.
  •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만 다른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을 수 있습니다. 이때 이 학생은 체육복을 하나만 도난당했다고 가정하며, 남은 체육복이 하나이기에 다른 학생에게는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습니다.

입출력 예

n lost reserve return
5 [2, 4] [1, 3, 5] 5
5 [2, 4] [3] 4
3 [3] [1] 2

입출력 예 설명

예제 #1
1번 학생이 2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고,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이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학생 5명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예제 #2
3번 학생이 2번 학생이나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학생 4명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My Source Code 1>

def popPerson(lostIdx, reserveIdx, personNum):
    lost.pop(lost.index(lostIdx))
    reserve.pop(reserve.index(reserveIdx))
    personNum+=1
    return lost, reserve, personNum

def solution(n, lost, reserve):    
    personNum = n-len(lost)

    for i in range(n):
        idx = i +1
        if (idx in lost) and (idx in reserve):
            popList = popPerson(idx, idx, personNum)
            lost = popList[0]; reserve = popList[1]; personNum = popList[2]

    if (1 in reserve) and (2 in lost):
        popList = popPerson(2, 1, personNum)
        lost = popList[0]; reserve = popList[1]; personNum = popList[2]

    if (n in reserve) and (n-1 in lost):
        popList = popPerson(n-1, n, personNum)
        lost = popList[0]; reserve = popList[1]; personNum = popList[2]

    for i in reserve:
        if (i-1) in lost:
            popList = popPerson(i-1, i, personNum)
            lost = popList[0]; reserve = popList[1]; personNum = popList[2]
        elif (i+1) in lost:
            popList = popPerson(i+1, i, personNum)
            lost = popList[0]; reserve = popList[1]; personNum = popList[2]
        
    return personNum
  1.  여분 옷을 가져온 학생중에 도난당했으면, 본인이 직접 입는다. 
  2. 1번과 끝번호의 학생은 2번과 끝에서 두번째 학생에게만 옷을 빌려줄 수 있음, 따라서 여분의 옷은 여기서 먼저 처리하는게 최대한 많은 학생들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방법이다.
  3. 나머지 2 ~ n-1 (n=마지막)의 학생들은 앞뒤 체육복이 있는 학생들에게 옷을 받을 수 있다.

<My Source Code 2>

for i in lost:
    if i-1 in reserve:
        popList = popPerson(lost, reserve, i, i-1, personNum)
        lost = popList[0]; reserve = popList[1]; personNum = popList[2]
    elif (i+1) in reserve:
        popList = popPerson(lost, reserve, i, i+1, personNum)
        lost = popList[0]; reserve = popList[1]; personNum = popList[2]

여전히 실패지만 그래도 에러가 줄었다...

 

<My Source Code 3>

def popPerson(lost, reserve, lostIdx, reserveIdx, personNum):
    lost.pop(lost.index(lostIdx))
    reserve.pop(reserve.index(reserveIdx))
    personNum+=1
    return lost, reserve, personNum

def solution(n, lost, reserve):
    personNum = n-len(lost)
    for i in range(n):
        idx = i +1
        if (idx in lost) and (idx in reserve):
            popList = popPerson(lost, reserve, idx, idx, personNum)
            lost = popList[0]; reserve = popList[1]; personNum = popList[2]

    if (1 in reserve) and (2 in lost):
        popList = popPerson(lost, reserve, 2, 1, personNum)
        lost = popList[0]; reserve = popList[1]; personNum = popList[2]

    if (n in reserve) and (n-1 in lost):
        popList = popPerson(lost, reserve, n-1, n, personNum)
        lost = popList[0]; reserve = popList[1]; personNum = popList[2]
        
    if (2 in reserve) and (1 in lost):
        popList = popPerson(lost, reserve, 1, 2, personNum)
        lost = popList[0]; reserve = popList[1]; personNum = popList[2]

    if (n-1 in reserve) and (n in lost):
        popList = popPerson(lost, reserve, n, n-1, personNum)
        lost = popList[0]; reserve = popList[1]; personNum = popList[2]
    
    for i in reserve:
        if i-1 in lost:
            popList = popPerson(lost, reserve, i-1, i, personNum)
            lost = popList[0]; reserve = popList[1]; personNum = popList[2]
        elif (i+1) in lost:
            popList = popPerson(lost, reserve, i+1, i, personNum)
            lost = popList[0]; reserve = popList[1]; personNum = popList[2]
            
    for i in lost:
        if i-1 in reserve:
            popList = popPerson(lost, reserve, i, i-1, personNum)
            lost = popList[0]; reserve = popList[1]; personNum = popList[2]
        elif (i+1) in reserve:
            popList = popPerson(lost, reserve, i, i+1, personNum)
            lost = popList[0]; reserve = popList[1]; personNum = popList[2]

            
    return personNum

lost와 reserve 두가지를 동시에 보면서 체육을 할 수 있는 학생들을 카운트하도록 하려다 보니, 그리고 여러 경우의 수들을 땜빵?? 하듯이 처리하다보니 이렇게 코드가 길어졌다...

 

동일한 문장이 계속 반복되는 최악의 코드 ;;;

 

그래서 다른 사람의 코드를 참조해보니, 길었던 이유는 "생각과 걱정이 많아서" 이다.

  def solution(n, lost, reserve):
	# 체육복을 도난 당한 사람중에 여벌이 있는 경우가 우선
    reserve_uniq = set(reserve) - set(lost)
    lost_uniq = set(lost) - set(reserve)

	# 여벌이 있는 사람들중에서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는 사람이 있는지 확인
    for i in reserve_uniq :
        if i-1 in lost_uniq :
            lost_uniq.remove(i-1)
        elif i+1 in lost_uniq :
            lost_uniq.remove(i+1)

    return n - len(lost_uniq)

 

여기서 포인트는 나는 수업을 들을 수 있는 최대 값을 찾다보니, 끝자리에 있는 학생들을 고려한 것이다.

하지만 RESERVED에 끝자리 학생이 있는 경우는 아래의 두가지 밖에 없는데

  • N = 5이고, LOST = [4], RESERVED = [5]
  • N = 5이고, LOST = [5], RESERVED = [5]

RESERVED를 기준으로 보면 첫번째의 경우에는 무조건 4번에게 체육복을 줄것이고, 두번째의 경우에는 본인이 체육복을 입을 것이기 때문에 끝자리라고 특별히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가정이 잘못됐기 때문에 문제 풀이가 복잡해졌다.

 

어쨌든 기존의 내 코드를 저런 로직으로 아래와 같이 변경했다.

<My Source Code 4>

def solution(n, lost, reserve):
    personNum = n-len(lost)
    for idx in range(1, n+1):
        if (idx in lost) and (idx in reserve):
            lost.remove(idx); reserve.remove(idx); personNum+=1

    for i in reserve:
        if i-1 in lost:
            lost.remove(i-1); personNum+=1
        elif i+1 in lost:
            lost.remove(i+1); personNum+=1
            
    return personNum

근데 분명 동일한 로직을 타는 코드라 생각했는데, 18,20번 테스트케이스 에러가 났다. ^o^

set으로 공통을 제거한 것과 if _ in으로 공퉁을 찾아서 제거하는것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찾아보니 나같은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있었다...

알고싶다... ㅠ.ㅠ

 

찾으면 다시 돌아와야지..

'2022 > Programm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탐욕법 - 큰 수 만들기** (Lv.2)  (0) 2022.02.27
탐욕법 - 조이스틱** (Lv.2)  (0) 2022.02.26
완전탐색 - 카펫 (Lv.2)  (0) 2022.02.24
완전탐색 - 소수찾기 (Lv.2)  (0) 2022.02.23
완전탐색 - 모의고사 (Lv.1)  (0) 2022.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