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23)
-
BFS - 숨바꼭질 [1697번]
쉬운줄 알았던데 생각보다 마음대로 풀리지 않아서 상당히 애먹었던 문제이다. 처음에는 아래와 같이 풀이를 했으나 무한루프에 빠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왜그런건지 궁금한데... 일단 추정상 not in 으로 리스트안에 값을 찾는 로직이 인덱싱하는 것보다 시간복잡도가 더 커서 그런것이라고 생각이 든다. # 수빈의 현재 점 = N, 동생의 점 = K # 위치가 X일때 걷는다면 1초 후에 X-1, X+1로 이동 # 순간이동인 경우에는 1초 후에 2*X로 이동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K = map(int, input().split()) time = 0 q = deque([(N, time)]) visited = [N] while q: x, t = q.popleft() if x == ..
2022.07.15 -
BFS - 단지번호붙이기 [2667번]
Queue 를 이용한 BFS로 풀이한 문제이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 int(input()) graph = []; visited = [] for _ in range(N): tmp = list(map(int, input())) graph.append(tmp) visited.append(list(map(lambda x : x == 1, tmp))) result = [] dx = [1, 0, -1, 0]; dy = [0, 1, 0, -1]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graph[i][j] == 1 and visited[i][j] == True: q = deque([(i, j)]) num = 1 visited[i][j] = Fa..
2022.07.14 -
BFS - 미로 탐색 [2178번]
BFS보다는 DFS로 풀이하는게 직관적이다 보니, BFS에 대한 풀이가 아직은 익숙하지 않다... 휴..이제 좀 열심히 해야지 ㅜㅜ 어쨌든 이번에도 역시나 DFS로 풀이를 했는데 시간초과가 났다... 해당 풀이는 아래와 같다. def dfs(loc, curTime): global minTime if loc == [N-1, M-1]: minTime = min(minTime, curTime) return chk = False for i in range(4): nx = loc[0]+dx[i]; ny = loc[1]+dy[i] if 0
2022.07.14 -
17140 - 이차원 배열과 연산
처음에 텍스트 만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워서 아래 그림과 같이 그려가며 이해해보았다. # R연산 : 배열 A의 모든 행에 대해서 정렬을 수행 -> 행의 개수 >= 열의 개수 # C연산 : 배열 A의 모든 열에 대해서 정렬을 수행 -> 행의 개수 < 열의 개수 def rowSort(graph): copyGraph = [] maxRowLen = 0 for rowGraph in graph: srGraph = set(rowGraph) lrGraph = list(srGraph) lrGraph.sort(reverse=True) tmp = [] for i in range(len(lrGraph)): if lrGraph[i] == 0: continue tmp.append([lrGraph[i], rowGraph.count(l..
2022.07.07 -
17143 - 낚시왕
이번 문제는 하라는대로 잘 만 하면 되는 문제다. 그러나 딱 한가지 좀 시간이 걸렸던 부분이라면 상어가 더이상 갈 곳이 없으면 반대방향으로 전환하여 계속 남은 부분을 이동하는 것이었는데 분명 수식이 있을것이라 생각하였다. 해당 수식은 sharkMove에 구현되어있다. 이것만 제외하면 생각보다 쉽게 풀려지는 문제였다. def sharkMove(x, y, s, d): # print("-----------------------" + str(x) + ', ' + str(y) + "-------------------------------") # 1 : 위 , 2 : 아래, 3 : 오른쪽, 4 : 왼쪽 dx = [0, -1, 1, 0, 0] dy = [0, 0, 0, 1, -1] nx = x + (dx[d] * s..
2022.06.25 -
15685 - 드래곤 커브
Point 1 0: x좌표가 증가하는 방향 (→) 1: y좌표가 감소하는 방향 (↑) 2: x좌표가 감소하는 방향 (←) 3: y좌표가 증가하는 방향 (↓) * 일반적으로는 y는 가로로 증가 또는 감소하며, x는 세로로 증가 또는 감소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x가 가로 방향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며, y가 세로 방향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Point 2 0 세대 1 세대 2세대 3세대 위의 그림과 같이 세대별 방향을 보면 이전 세대의 역순 + 1 이라는 규칙성을 발견할 수 있다. 0세대 0 1세대 0 + 1 2세대 0, 1 + 2, 1 3세대 0, 1, 2, 1 + 2, 3, 2, 1 from copy import deepcopy dx = [0, -1, 0, 1] dy = [1, 0..
2022.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