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운영체제와 정보기술의 원리(11)
-
2장 - 운영체제 개요 : 운영체제 자원 관리 기능
운영체제의 자원 관리 기능 HW 자원 : CPU, 메모리, 주변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보조기억장치 - CPU, 메모리는 전원이 꺼지면 처리중이던 정보가 모두 꺼지기 때문에 전원이 나가도 기억해야하는 부분은 입출력 장치 중 하나인 해당 장치에 파일형태로 저장) CPU CPU 스케쥴링 매 시점 어떤 프로세스에 CPU를 할당해 작업을 처리할 것 인지 결정하는 일이 필요 - CPU를 가장 효율적이면서도 특정 프로세스가 불이익 당하지 않도록 하는 것 - 1. 선입선출(FCFS) CPU를 사용하기 위해 도착한 프로세스들 중 먼저 온 것을 먼저 처리해주는 방식 - CPU 자체의 효율적인 사용 측면에서 문제가 없지만 전체 시스템 입장에서는 비효율적인 결과를 초래 2. 라운드 로빈(RR) CPU를 한번 할당받아 사용할 ..
2023.11.17 -
1장 - 컴퓨터 및 정보기술의 역사 : 현대의 컴퓨터
범용 컴퓨터 : 임의의 목적으로 사용 (슈퍼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임베디드 컴퓨터 : 특수한 목적을 위해 각종 장치의 제어용으로 내장 범용 컴퓨터 1) 슈퍼컴퓨터와 메인프레임 컴퓨터 1-1. 메인프레임 컴퓨터 - 은행, 항공사 같은 대규모 사업장에서는 대량의 데이터 처리와 신뢰성 있는 전산 작업을 위해 메인프레임 컴퓨터를 여전히 사용 - 시분할(Time Sharing) 방식 사용 1-2. 슈퍼컴퓨터(고성능 컴퓨터(HPC)) - 메인프레임 컴퓨터로도 처리 능력이 부족한 응용분야인 기상예측, 통신망 설계, 석유 탐사 같은 분야에서 사용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슈퍼컴퓨터를 원격으로 사용하고, 사용료를 지불하는 새로운 형태의 컴퓨팅 ..
2023.11.17 -
3장 -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 원리 :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 메모리 및 입출력 장치 등의 하드웨어 장치에는 '컨트롤러'가 장착되어 있음 컨트롤러는 컴퓨터 전체에 CPU라는 중앙처리장치가 있듯이 각 하드웨어 장치마다 존재하면서 제어하는 작은 CPU 운영체제는 여러 프로그램이 동시에 수행되는 시스템을 위한 OS로 컴퓨터 부팅부터 항상 수행되면서 각종 자원들을 관리해야 하므로 항상 메모리에 올라가있다. 하지만 운영체제의 모든 코드를 다 메모리에 상주시키면 메모리 낭비가 발생하기 때문에 메모리에 올라가 있는 부분은 전체 운영체제 중에서 핵심적인 부분에 한정된다. 이를 '커널(Kernel)'이라고 부른다.
2023.11.17 -
3장 -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 원리 : 인터럽트의 일반적 기능
운영체제는 각종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자원 관리 뿐만 아니라 사용자 프로그램에 필요한 서비스도 제공한다. 이처럼 운영체제가 해야할 일을 개발자가 미리 프로그래밍 해서 커널내에 포함시켜두는데, 이 중 하나가 '인터럽트 처리 루틴'이다. 인터럽트 처리 루틴 다양한 인터럽트에 대해 각각 처리해야 할 업무들을 정의 EX ) 1. 디스크 컨트롤러가 인터럽트 발생 2. CPU는 하던 일을 멈추고 이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수행하도록 정의된 코드를 찾아 수행 3. 수행한 일은 디스크의 로컬버퍼에 있는 내용을 사용자 프로그램의 메모리로 전달 4. 해당 프로그램이 CPU를 할당받을 경우 다음 명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일 하드웨어 인터럽트 하드웨어 인터럽트는 컨트롤러 등 하드웨어 장치가 CPU의 인터럽트 라인을..
2023.11.17 -
3장 -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 원리 : 인터럽트 핸들링
인터럽트 핸들링 인터럽트 핸들링(Interrupt Handling) 인터럽트가 발생한 경우 처리해야 할 일의 절차 CPU에서 명령이 실행될 때 CPU내부의 임시 기억장치인 레지스터(Register)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쓰면서 작업을 하는데, 이때 인터럽트 발생으로 새로운 명령을 실행하면 기존의 레지스터 값들이 지워지게 되므로 CPU내의 이러한 상태를 저장한 이후에 인터럽트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PCB(Process Control Block) : 프로세스 제어블록 운영체제가 현재 시스템 내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을 관리하기 위해 두는 자료구조 EX ) 1. 프로그램 실행 중 인터럽트 발생 2. 프로그램이 실행 중이던 코드의 메모리 주소와 레지스터 값, 하드웨어 상태 등을 PCB에 저장 3. C..
2023.11.17 -
3장 -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 원리 : 입출력 구조
입출력 구조 입출력 방식 동기식 입출력(Synchronous I/O) : 입출력 요청이 있을 때, 입출력 작업이 완료된 후에 그 프로그램의 후속 작업 수행 가능한 방식 CPU 제어권이 입출력 하는 동안에는 인터럽트에 있기 때문에 입출력 연산이 끝날 때 까지 CPU는 인터럽트를 기다리면서 자원을 낭비하게 된다. 또한 CPU의 명령속도는 빠르지만 입출력 장치에서 데이터를 읽어오는 등의 입출력 연산은 상대적으로 느리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이 입출력을 수행 중인 경우에는 CPU를 다른 프로그램에 이양해 CPU가 계속 쉬지 않고 계속 일 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입출력이 완료될 때 까지 해당 프로그램에는 CPU를 할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를 관리하기 위해 운영체제는 프로그램을 몇가지 상태로 나누고..
2023.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