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운영체제와 정보기술의 원리(11)
-
3장 -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 원리 : CPU연산과 I/O연산
CPU연산과 I/O연산 "컴퓨터에서 연산을 한다는 것 = CPU가 무엇인가 일을 한다는 것" 입출력 장치의 I/O 연산은 입출력 컨트롤러사 담당하고, 컴퓨터 내에서 수행되는 연산은 메인 CPU가 담당하며, 입출력 장치와 메인 CPU는 동시에 수행 가능 로컬버퍼(Local Buffer) 각 장치마다 이를 제어하기 위해 설치된 장치 컨트롤러는 장치로부터 들어오고 나가는 데이터를 ㅇ미시로 저장하기 위한 작은 메모리를 가지고 있음 기본적으로 CPU는 매 시점 메모리에서 명령을 하나씩 읽어서 수행하는데, 그때마다 CPU 옆의 인터럽트 라인에서 신호가 들어오는지 확인한다.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다음 명령을 수행하기 전에 인터럽트를 처리하고 다름 명령을 계속 수행한다. 인터럽트(Interrupt) 키보드 입력 또는 요..
2023.11.17 -
1장 - 컴퓨터 및 정보기술의 역사 : 근대의 컴퓨터
근대적 컴퓨터의 역사 1세대 컴퓨터 1940 후반 ~ 진공관 기반의 컴퓨터 2세대 컴퓨터 1950 후반 ~ 트랜지스터 기반의 컴퓨터 3세대 컴퓨터 1960 후반 ~ 집적회로(IC) 기반의 컴퓨터 4세대 컴퓨터 1970 후반~ 고밀도 집적회로(VLSI) 기반의 컴퓨터 1940년대 후반 ~ 19050년대 초반 : ENIAC, UNIVAC I 등 진공관 기반의 컴퓨터 진공관은 전구 크기의 유리관으로 구성되며 스위칭 회로를 내장하고 있다. 전문 기술자가 컴퓨터를 프로그램하고, 관리해야한다. 부피가 매우커서 하나의 컴퓨터가 센터 건물 전체를 차지 수명이 짧아 신뢰성 문제 발생 * 컴퓨터 자체의 처리 능력에 대한 발전과 함께 과학적인 목적의 대용량 수치 계산이 가능해지는 등 컴퓨터의 응용에 대해서도 많은 발전이 시..
2023.11.17 -
2장 - 운영체제 개요 : 운영체제 예
운영체제의 예 1. MS 윈도우 (윈도우 95 -> 윈도우 XP -> 윈도우 Vista -> 윈도우 7 -> 윈도우 10) DOS 운영체제 위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이 아닌 그 자체가 하나의 온전한 운영체제가 되도록 제작한 윈도우 95 나옴 윈도우 XP부터는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다른 운영체제에 이미 익숙한 사용자를 비롯해 컴퓨터를 처음 다루는 초보자에게도 쉽게 배울 수 있는 방법을 제공 시스템에 새로운 하드웨어를 장착하면 OS가 자동으로 하드웨어를 감지해 그에 맞게 설정 -> "Plug and Play" 기능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윈도우 사용자들끼리 파일을 공유하거나, 프린터 등의 하드웨어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 * 윈도우 NT : MS 윈도우 중에서 안정성이 높고, 웹서버 등 다중 ..
2022.05.23 -
2장 - 운영체제 개요 : 운영체제 분류
운영체제의 분류 동시 작업을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른 단일작업과 다중작업 OS 1) 단일작업용 운영체제와 다중작업용 운영체제 - 단일작업용 운영체제 : 한 번에 하나의 프로그램만 실행 가능 ex) 초창기 운영체제(DOS 환경) - 다중작업용 운영체제 : 동시에 2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처리할 수 있는 다중작업 지원 ex) MS 윈도우, 유닉스 환경 2) 시분할 시스템 - CPU 다중작업을 처리할 때에는 여러 프로그램이 CPU와 메모리를 공유하게 되는데, CPU가 하나밖에 없어서 매 순간 하나의 프로그램만 CPU 점유가 가능하다. 하지만 CPU 처리 속도가 워낙 빨라 수 밀리초(ms) 이내의 짧은 시간 규모로 여러 프로그램들이 CPU에서 번갈아 실행되어 여러 프로그램들이 동시에 실행되는 것 처럼 보임 3) 다..
2022.05.23 -
2장 - 운영체제 개요 : 운영체제 정의
운영체제의 정의 OS(Operating System : 운영체제)는 컴퓨터 하드웨어 바로 윗단에 설치되는 SW로, 사용자 및 다른 모든 SW를 하드웨어와 연결하는 소프트웨어 계층이다. 하드웨어는 운영체제와 함께 쓰일때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OS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소프트웨어가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되기 위해서 메모리에 그 프로그램(실행시킬 소프트웨어)이 올라가있어야한다. 마찬가지로 운영체제 자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전원이 켜짐과 동시에 메모리에 올라간다. 그런데 메모리는 한정되어있기 때문에 운영체제와 같은 규모가 큰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올라가게 된다면 메모리 낭비가 심각해진다. 따라서 전원이 켜지면 필요한 부분만 메모리에 올려두..
2022.05.13